i. NF-κB의 활성화 :
1. 신호 경로 :NF-κB 활성화는 사이토 카인, 미생물 성분, 스트레스 신호 및 염증 매개체를 포함한 다양한 자극에 의해 트리거 될 수있다. 이들 자극은 톨-유사 수용체 (TLR) 경로 또는 종양 괴사 인자 (TNF) 수용체 경로와 같은 특정 신호 경로를 활성화시킨다.
2. IKK 복합체 형성 :이들 신호 전달 경로의 활성화는 2 개의 촉매 서브 유닛 (IKKα 및 IKKβ) 및 조절 서브 유닛 (IKKγ/NEMO)으로 구성된 IκB 키나제 (IKK) 복합체의 형성을 초래한다.
3. IκB의 인산화 및 분해 :IKK 복합체는 세포질에서 NF-κB에 결합하고 격리하는 단백질 인 NF-κB (IκB)의 억제제를 인산화한다. IκB의 인산화는 프로 테아 좀에 의한 분해를 나타냅니다.
II. NF-κB의 핵 전위 :
1. NF-κB의 방출 : 일단 IκB가 분해되면, NF-κB는 억제 복합체로부터 방출되고 세포질에서 핵으로 전위된다.
2. 핵 수입 : NF-κB의 핵 전위는 분자를 핵으로 운반하는 단백질 인 importins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촉진된다.
iii. DNA 결합 및 전사 활성화 :
1. NF-κB 이량 체의 형성 : 핵에서, NF-κB는 동종 또는 이종이 량체, 가장 일반적으로 p50/p65 이종이 량체를 형성한다. 이들 이량 체는 표적 유전자의 프로모터 내에서 κB (카파 B) 부위로 알려진 특정 DNA 서열에 결합한다.
2. 공동 활성화 자 모집 : κB 부위에 NF-κB의 결합은 다양한 공동 활성화 제, 전사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되는 단백질을 모집한다. 이 모집은 전사 개시 복합체의 조립으로 이어진다.
3. 전사 활성화 : 전사 개시 복합체는 표적 유전자의 메신저 RNA (mRNA)로의 전사를 촉진시킨 후 단백질로 번역한다. 이들 단백질은 염증, 면역 및 아 pop 토 시스와 같은 NF-κB 활성화와 관련된 세포 반응을 매개한다.
IV. 부정적인 피드백 규정 :
1. IκBα의 유도 : 과도한 NF-κB 활성을 방지하기 위해 음성 피드백 메커니즘이 마련되었습니다. 이러한 메커니즘 중 하나는 NF-κB의 억제제 인 IκBα의 유도를 포함한다. IκBα 자체는 NF-κB의 표적 유전자이며, 그 유도는 새로 합성 된 NF-κB의 격리를 초래하여 활성을 제한한다.
2. IκB의 탈 유비퀴틴 화 및 안정화 :또한, IκB는 분해를 위해 단백질을 표시하는 유비퀴틴 태그를 제거하는 과정 인 Deubiquitination에 의해 안정화 될 수있다. A20과 같은 탈 유비퀴틴 화 효소는 IκB의 유비퀴틴 화를 역전시켜 분해를 방지하고 NF-κB에 결합하고 억제 할 수 있습니다.
요약하면, NF-κB의 조절은 다양한 자극에 의한 활성화에서 핵 전위, DNA 결합 및 표적 유전자의 전사 활성화에 이르기까지 밀접하게 제어 된 일련의 사건을 포함한다. 부정적인 피드백 메커니즘은 NF-κB 활성이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어 면역 항상성을 유지하고 과도한 염증을 예방하도록 보장합니다. NF-κB 신호 전달의 조절증은 염증성 장애,자가 면역 질환 및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에 연루되어있다.